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56

2. 문자함수(substr, instr, replace ....) 데이터베이스는 문자열로 된 데이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문자열로 만든 데이터에 대한 문자 함수가 존재한다. 1. substr substr은 원하는 크기만큼, 원하는 위치에 문자열을 잘라주는 함수이다. substr의 생김새는 다음과 같다. substr(컬럼 이름 or 문자열, 잘라낼 시작 위치, 잘라낼 문자의 양) 잘라낼 문자의 양이 양수이면 오른쪽으로, 음수면 왼쪽으로 자르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다른 언어는 가장 왼쪽을 0부터 시작하지만, 오라클은 1부터 시작한다. 예를 들어보자. SELECT SUBSTR(ENAME,1,1),ENAME FROM EMP WHERE SUBSTR(ENAME,1,1)='M'; 다음과 같이 첫번째 단어부터, 한 글자를 잘라내니 맨 처음 글자만 남게 된다. 다른 예시도 .. 2020. 3. 19.
1. SELECT 명령어 데이터 질의 언어인 SELECT 명령어가 있다. *오라클의 주석은 -- 으로 쓴다. 가장 기본이 되는 SELECT의 명령어는 SELECT[컬럼명 or 표현식] FROM[테이블명]; 이다. 1. 원하는 컬럼만 출력하기 SELECT EMPNO, ENAME, SAL FROM EMP; 다음과 같이 컬럼 EMPNO, ENAME, SAL만 출력된다. 2. 테이블 전체를 보는 명령어 만일 테이블 전체를 보고 싶다면, *를 사용하면 된다. SELECT * FROM EMP; 다음과 같이 테이블 전체를 출력한다. 3. 중복된 내용을 없애는 명령어 때때로 테이블 내의 데이터는 중복된 값이 있는데, 이를 제거하고 출력할 수도 있다. distinct이다. SELECT DISTINCT JOB FROM emp; 4. WHERE 절.. 2020. 3. 19.
테이블 자료 수정 체험. 앞서 권한 부여로 만든 표는 다음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처음에는 어떠한 정보도 없어 텅 빈 화면만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정보를 넣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INSERT INTO player(id,name,position,teamid) VALUES(1, '이대호', '1루수', 1); commit; commit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재 정보들은 RAM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RAM은 전기가 꺼지는 순간 데이터가 모두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즉, 데이터를 유실되지 않게 보관하려면 I/O를 이용해 하드디스크에 저장해야만 한다. 이를 도와주는 명령어가 commit이다.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 전에, 잘못 기입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RAM 자료를 삭제하는 명령어도 있다. .. 2020. 3. 18.
.sql 확장자 파일 불러오기 파일을 때때로 작성뿐만 아니라 외부 데이터를 불러와야 하는 일도 생긴다. 오라클 파일은 .sql 파일로 저장된다. .sql 확장자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lter session set "_ORACLE_SCRIPT"=TRUE; @c:\scott.sql; ((세션을 true로 변경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만들어지지 않으니 꼭 true로 변경하기!!)) @와 함께 파일의 위치와 확장자를 입력하면 파일이 만들어진다. 이 때, 때때로 오류가 뜨기도 하는데,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 으로 열기 -> 파일 열기 -> 오류가 뜨는 위치를 검색 -> 수정 후 저장 -> 재실행 과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c:\test_data.sql; 이.. 2020. 3. 18.
반응형